www.imr.co.kr

사라의 죽음

창세기 23:1-20
1. 사람은 반드시 죽습니다.
<창23:1, 사라가 일 백 이십 칠 세를 살았으니 이것이 곧 사라의 향년이라>
사라는 1백 27세에 죽었습니다. 아브라함보다 38년 일찍 죽었던 것입니다. 사라는 1백 27세를 살면서 중요한 일을 하였습니다. 잉태하지 못하는 90세의 나이에 하나님의 특별하신 은혜로 아이를 가졌고, 약속의 아들인 이삭을 낳아 믿음으로 잘 양육하였습니다. 사라가 때로는 인간적인 연약함으로 넘어지고 쓰러질 때도 있었지만, 그래도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에 따라 살았습니다. 이런 영광을 누렸던 사라이지만 그도 결국은 죽었습니다.
사람은 누구든지 세상에 태어나 한평생을 살다가 반드시 죽습니다. 사람들이 아무리 큰 일을 하고 영광된 삶을 살았다고 해도 죽음은 누구에게나 임하게 됩니다. 히브리서 9장 27절에서도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한 것이요'라고 했습니다. 죽음은 피할 수가 없다는 말입니다. 아담과 노아, 아브라함과 다윗도 죽었습니다. 우리도 언젠가는 죽을 것입니다. 죽음 앞에 인간은 무력할 뿐입니다. 사람에게는 하나님께서 저마다 정해 놓으신 향년이 있습니다. 그 향년을 살다가 하나님이 오라고 하시면 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삶과 죽음은 모두 하나님께 속해 있습니다.

2. 인생은 나그네입니다.
<창23:4, 나는 당신들 중에 나그네요 우거한 자니 청컨대 당신들 중에서 내게 매장지를 주어 소유를 삼아 나로 내 죽은 자를 내어 장사하게 하시오>
믿음의 동반자요 기쁨과 슬픔, 그리고 어려움과 고통을 함께 나누며 의지하던 사라를 잃은 아브라함은 애통했습니다. 이제 아브라함은 혼자 남았습니다. 아브라함의 인생 발자취를 더듬어 보면 고향인 갈대아 우르를 떠나 타향살이를 하면서 이방인들에게 생명의 위협을 느끼기도 하였고, 아름다운 사래를 빼앗길 뻔도 하였습니다. 그는 이민 1세대로서 온갖 고생을 하며 살면서도 한 뼘의 땅도 구입하지 못해 사래의 시신을 묻을 매장지가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인도하심대로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리고서 고백하기를 나는 나그네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인생은 나그네입니다. 아브라함만이 나그네가 아니라 모든 인생이 나그네입니다. 우리는 이 땅에 잠시 다녀가는 인생인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마치 이 세상에서 영원히 살 주인공처럼 생각합니다. 세상 욕심에 눈이 어두워서 자기 중심으로 자기의 욕심을 채우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한 곳에 정착하여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아도 하나님이 오라고 하시면 결국은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오늘 우리의 인생입니다. 세상의 눈이 어두워 나그네와 같은 삶을 보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말고, 아브라함처럼 하나님의 인도하심대로 사는 지혜로운 사람들이 되어야 하겠습니다.

3. 매장지를 위하여 대가를 지불하는 아브라함
<창23:9, 그로 그 밭머리에 있는 막벨라 굴을 내게 주게 하되 준가를 받고 그 굴을 내게 주어서 당신들 중에 내 소유 매장지가 되게 하기를 원하노라>
아브라함은 당시 헷 사람들에게 사랑과 신뢰를 받았습니다. 그들은 아브라함을 하나님의 방백으로 여기며 존중했습니다. 그러기에 사라의 매장지를 아브라함이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에브론은 밭도 주고 굴도 거저 주겠다고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동족 앞에서 세 번이나 약속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아브라함은 얼마든지 땅을 거저 얻을 수 있었음에도 그들에게 사라의 매장지를 사게 해 달라고 간청하며 몸을 굽힙니다. 아브라함은 자신이 존경받는 위치에 있다고 해서 무조건 대접만 받으려고 하지 않았습니다. 아브라함은 이전에 자신이 판 우물을 빼앗겼다가 다시 찾을 때에도 값을 주고 샀던 경험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은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땅을 구입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인간의 본성 가운데는 공짜 근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누구든지 공짜를 좋아합니다. 그러나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혹시 공짜로 받았다고 해도 언젠가는 그 값을 감당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은혜도 마찬가지입니다. 예수 믿고 구원받은 것이 공짜인 것 같지만, 하나님은 그 은혜를 우리에게 주시기 위하여 독생자이신 아들을 십자가에 달려 죽게 하시는 희생을 감당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 은혜를 공자로 입은 것이 아닙니다. 그 값을 치루며 살아야 하는 것입니다.

4. 약속의 땅에 묻히는 사라
<창23:19, 그 후에 아브라함이 그 아내 사라를 가나안 땅 마므레 앞 막벨라 밭 굴에 장사하였더라 (마므레는 곧 헤브론이라)>
아브라함은 사라의 시신을 고향인 갈대아 우르에 묻지 않고 헤브론에 있는 막벨라 굴에 장사를 지냅니다.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죽을 때에 고향에 묻기를 원하는데 아브라함은 그렇게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헤브론 땅을 하나님이 약속하신 약속의 땅으로 믿고, 또한 하늘의 가나안으로 믿었습니다. 이러한 믿음과 확신이 있었기에 아브라함(25:9)과 이삭(35:29)과 야곱(50:13)도 막벨라 굴에 묻히게 된 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영원한 나라인 하늘의 가나안을 약속으로 상속받았습니다. 아브라함이 믿음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바라보았듯이 우리도 그러한 믿음을 가지고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해야 할 것입니다. 이 세상이 목적이고 모두가 아니라 더 나은 본향인 천국이 있고 그곳을 향하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 믿음의 삶을 사는 사람은 복있는 사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