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imr.co.kr

                                승리 후의 아브람
                               
  (창세기 14:17-24)

소돔 왕을 중심으로 한 남연합군이 패함으로 잡혀갔던 롯을 구출하기 위해 남북전쟁에 뛰어들었던 아브람은 결국 승리하고 돌아옵니다. 소돔 왕은 예루살렘에서 약 400m 떨어진 사웨 골짜기(기드론 골짜기)로 나가 승전하고 돌아오는 아브람을 맞습니다. 소돔 왕과 살렘 왕이 아브람을 맞기 위해 온 이후로 이곳을 왕곡(王谷)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오늘 말씀에는 아브람의 당당한 모습이 여지없이 나타납니다. 멜기세덱의 축복을 받고 십일조를 약속할 뿐 아니라 전리품에 손을 안 댄다고 맹세합니다.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아브람의 이런 당당함은 전쟁에서 승리하였기에 그렇기도 하지만, 그것보다는 하나님을 전적으로 믿는 신앙 때문입니다. 오늘은 남북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오는 아브람을 통하여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을 들으며 은혜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

승리 후의 영접

(17,18절) "아브람이 그돌라오멜과 그와 함께 한 왕들을 파하고 돌아올 때에 소돔 왕이 사웨 골짜기 곧 왕곡에 나와 그를 영접하였고 살렘 왕 멜기세덱이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고 합니다. 승리하고 돌아오는 아브람은 소돔 왕과 살렘 왕 멜기세덱의 영접을 받습니다. 소돔 왕은 세상을 대표하는 왕이라 할 수 있고, 살렘 왕은 대제사장으로서 하나님을 대표하는 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도 하나님에게도 환영을 받는 모습입니다. 적은 힘으로 적을 물리치고 돌아오는 아브람의 모습은 이런 환영이 어울립니다.

여기서 오해하면 안 될 것이 있습니다. 아브람이 영광을 받는 것이 아니라 환영을 받는 것이란 사실입니다. 오직 영광은 하나님께 돌려야 합니다. (행12:23) "헤롯이 영광을 하나님께로 돌리지 아니하는 고로 주의 사자가 곧 치니 충이 먹어 죽으니라" 그것은 살렘 왕 멜기세덱의 축복에서 명확해집니다. (19절) "그가 아브람에게 축복하여 가로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이여 아브람에게 복을 주옵소서" 아브람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습니다. 영광의 대상이 아닙니다. 축복은 "천지의 주재이신" 하나님이 하십니다. 천지의 주재라 함은 모든 것을 지으시고 다스리시는 분이란 말입니다. 오직 승리의 영광은 하나님께 돌리고 있습니다.

살렘 왕은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아브람을 맞았습니다. 당시 가나안의 주산물들이요 주식(主食)입니다. 이것은 전쟁에 지친 병사들의 음식입니다. 자신들에게 평화와 안정을 되찾아 준 아브람 일행에 대한 지극한 감사의 표시입니다. 여기에도 어떤 영광을 돌리는 모습이 아니라 그저 단순히 감사하며 환영하는 모습이 서려있습니다.

십일조를 드림

살렘 왕 멜기세덱은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영접하였습니다. 그는 최초의 제사장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입니다. "살렘"은 '평화, 평강'의 뜻으로 시온성, 즉 예루살렘의 준말입니다. 아브람을 축복한 "멜기세덱"은 신학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갖습니다. 당시 여러 우상숭배의 나라들 사이에서 유독 하나님을 섬겼던 '의로운 왕'이었습니다. 그러기에 우리 예수님이 이 멜기세덱의 반차를 따라 오셨다(히5:10)고 하십니다.

이 멜기세덱의 첫 인사는 하나님 찬양입니다. 아브람으로 깨닫게 하는 것입니다. 그가 교만해질 수 있는 시간에 멜기세덱은 하나님께서 너로 하여금 대적을 꺾게 하신 것이라고 가르쳐 줍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승리 후에 교만하여서 하나님을 떠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브람이 승리 후에도 하나님을 찬양하며 십일조로 그것을 표할 수 있었던 것은 훌륭한 대제사장을 만났기 때문인지도 모릅니다.

(20절) "너희 대적을 네 손에 붙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찬송할지로다 하매 아브람이 그 얻은 것에서 십분 일을 멜기세덱에게 주었더라" 아브람이 십일조를 드린 것은 전쟁을 이기게 해주신 분이 하나님이란 걸 인정하는 행위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알았습니다. 자신이 얻은 것이 아니고 자신이 힘이 있어서 이룬 일이 아님을. 그는 그 십일조를 통해 그것을 고백합니다. (고전10:12) "그런즉 선 줄로 생각하는 자는 넘어질까 조심하라"고 했습니다. 아브람은 승리 후에 더욱 멋진 사람이 됩니다.

내 것이 아니고 주님의 것이라는 고백이 십일조의 진정한 정신입니다. 나는 단지 관리자로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바로 관리하겠다는 다짐이 십일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입니다. (말3:8,9) "사람이 어찌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겠느냐 그러나 너희는 나의 것을 도적질하고도 말하기를 우리가 어떻게 주의 것을 도적질하였나이까 하도다 이는 곧 십일조와 헌물이라 너희 곧 온 나라가 나의 것을 도적질하였으므로 너희가 저주를 받았느니라" 하나님의 것이기에 그것을 구별하지 못하면 도둑질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오늘 성경에서 아브람은 그것을 분명히 합니다.

전리품을 취하지 않는 아브람

소돔 왕은 너무나 감사하여 병사들만 자신에게 돌리고 물품은 가지라고 제안합니다. (21절) "소돔 왕이 아브람에게 이르되 사람은 내게 보내고 물품은 네가 취하라" 그러나 아브람은 소돔 왕의 이 제의를 거절합니다. 좀 전의 멜기세덱의 교훈이 아브람에게 그대로 적용되고 있음을 봅니다. (22-23절) "아브람이 소돔 왕에게 이르되 천지의 주재시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여호와께 내가 손을 들어 맹세하노니 네 말이 내가 아브람으로 치부케 하였다 할까 하여 네게 속한 것은 무론 한 실이나 신들 메라도 내가 취하지 아니하리라" 멜기세덱이 하던 대로 "천지의 주재"이신 하나님을 찬양합니다.

이방인의 도움으로 복을 누린다는 말을 듣지 않겠다는 당당함이 서려있는 말입니다. 오직 하나님께만 그 공로를 돌리고 싶은 것입니다. 하나님의 도움으로 얼마든지 이방의 왕에게 도움을 받지 않고도 더 잘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입니다. 살아 계신 하나님만 의지하는 아브람의 태도는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도전을 줍니다. 또한 죄악의 도시 소돔의 물질을 취하지 않겠다는 의지도 스며있습니다. 소돔의 번영을 바라보고 소돔으로 들어 간 롯과는 아주 대조적입니다.

아브람은 자신의 분깃 대신 자신과 함께 전쟁에 참가했던 자들의 것을 요구합니다. 아넬, 에스골, 마므레의 분깃이 그것입니다. 이들은 (13절)에서 아브람과 동맹한 자들입니다. 자신은 자기의 분깃을 포기할 수 있지만, 다른 이들은 다르기에 배려하는 마음입니다.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는 지도자의 선한 행동입니다. 자기가 희생하니 다른 이도 희생하라는 것은 좋은 지도자의 품성이 아닙니다.

아브람은 남북전쟁에서 승리한 것으로도 멋있는 사람이지만, 승리 후에 취한 그의 행동은 그를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끝까지 하나님을 신뢰하는 자의 모습입니다. (창15:1)에 가면 이런 아브람에게 하나님께서 응답하시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후에 여호와의 말씀이 이상 중에 아브람에게 임하여 가라사대 아브람아 두려워 말라 나는 너의 방패요 너의 지극히 큰 상급이니라" 그렇습니다. 하나님만 의지하는 자에게 하나님은 상급이십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사람들을 너무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만 의지하는 신앙인이 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하나님은 사람들을 통하여 좋은 길로 인도하십니다. 잘될 때 시험에 빠지지 말고 더욱 겸손하며 하나님의 상급을 바라며 당당하게 사는 그리스도인이 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