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w.imr.co.kr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

[본문] 골 1:24

이 고난의 한 주간에 주님의 십자가를 묵상하며 지낼 때 사도 바울이 옥중에서 쓴 편지 가운데 골 1:24의 말씀, "내가 이제 너희를 위하여 받는 괴로움을 기뻐하고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그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내 육체에 채우노라"하고 고백한 내용을 상고해 보려고 한다.

1. 먼저 그리스도의 고난부터 생각하여 보기로 하겠다.

원래 십자가의 형벌은 주전 2세기에 로마인들이 당시 식민지에 속한 백성들을 형벌을 할 때, 가장 잔인하게 형벌 하는 사형 집행 방법 중의 하나였다. 이러한 잔인하고 혹독한 사형으로 예수님께서 죽으신 것이다. 그런데 이 십자가는 예수님으로 인하여 단순한 사형의 틀이 아니라 구속의 상징이 되었다.

공자가 훌륭하나 배우는 자들의 선생일 뿐이며, 석가가 도를 깨달았으나 수도생들의 모범이 될 뿐이며, 마호멧이 유명하나 미개한 백성들의 지도자가 될지언정 우리의 구세주는 결코 될 수 없다. 그 이유는 공자도, 석가도, 마호멧도 대속의 십자가가 없기 때문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원래 부요한 분 이였으나 우리를 위하여 가난하게 되심은 그의 가난함을 인하여 우리를 부요하게 하려 하심이었다(고후 8:9). 예수님은 영광의 보좌를 버리시고 이 땅에 내려오셨을 뿐 아니라 죄의 값으로 죽은 우리에게 새 생명을 허락하시기 위하여 십자가상에서 그의 생명까지 아낌없이 내어 주신 분이다. 이에 대하여 선지자 이사야는 주전 700년경에 벌써 과거 완료형의 문장으로 예언하기를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다"(사 53:5)고 하였다. 우리 주님의 쓰리고 아픈 최후의 그 십자가가 나의 죽음을 대신하신 대속의 제물이 된 것이다.

교회에 들어가 보면 강단 정면에 십자가가 보인다. 그 십자가를 보면서 어떤 생각을 갖는가? 나는 오늘 이 십자가가 마치 산수의 더하기표(+) 같다고 생각이 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여러분과 나에게 있어 더하기 같은 상징이다. 그렇다. 분명히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오늘 여러분과 나에게 사죄와 새 생명을 기약하는 더하기 표가 틀림없다. 우리는 수난의 한 주간 동안 우리들의 생에 최대의 더하기 표가 되는 십자가를 깊이 묵상하면서 뜨거운 감격 속에서 이 한 주간을 살아야 하겠다.

십자가야말로 천국 문까지 충분히 닿을 수 있는 완전하고 높은 유일한 사다리이다. 목수는 나무를 보고 들보나 기둥을 생각하고, 과수원지기는 나무를 보고 과일만 생각하며, 여행자는 더위를 피할 그늘을 찾을 것이나 참 크리스천은 나무를 보고 뜨거운 구속의 체험을 맛볼 수 있다. 성도 여러분은 여기 이 강단의 십자가를 볼 때마다 하나의 나무로 보지 마시고 구속의 진리를 체험할 수 있으시기를 축원한다.
2.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란 구원을 위한 후속사업을 뜻한다.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란 구절은 오랫동안 신학적으로 문제가 되어 온 구절이다. 바울이 고난을 채워야 한다면 그리스도의 속죄의 고난은 완전치 못한 것이냐? 하는 문제이다. 카톨릭 신학자들 중에는 그리스도의 속죄의 공은 성도들의 고난을 통해서 보충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중세기의 고행주의 사상을 싹트게 하였으며, 성자들의 은공은 평신도를 돕는다는 데까지 이르게 되어 면죄부 판매의 근거 까기 되게 하였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사실은 바울이 그리스도의 고난을 자기 육체 가운데 채운다고 한 말은 그리스도의 속죄의 불완전성이나 미완성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도께서 성도에게 주신 고난으로서 "누구든지 나를 따라 오려거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쫓으라"(눅 9:23)고 하신 말씀에 기인한 것이다.

바울이 말한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이란 속죄의 고난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 사업을 위한 구령운동의 계속적인 후속사업을 이룩하게 하는 몸된 교회의 고난이요, 바울에게 부과된 일정한 비율의 자기 몫에 태인 제 십자가의 사명감당을 위한 고난이다. 하늘에서 뜻이 이루어진 것같이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려면 우리가 십자가를 지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은 전혀 없음을 알아야 한다.

우리 인간이 이 세상에 보냄을 받은 것은 사명 때문에 온 것이다. 세상은 놀이터가 아니요, 일터이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자기의 사명을 이 세상에서 감당하기 위해서 제 몫의 십자가를 져야 한다. 우리가 십자가를 지며 고난을 받는 길이 주신 사명을 완수하는 방법이다.
오늘날 이 땅에서 하나님의 뜻이 실현되지 않는 가장 큰 근본적인 이유는 우리가 십자가를 지지 않고 피하기 때문이다.

예수께서 십자가의 길을 가시려고 할 때 베드로는 주님을 붙잡고 그 길을 가시지 못하도록 만류했다. 이때 예수께서 베드로를 돌아보시면서 "사단아 내 뒤로 물러가라 너는 나를 넘어지게 하는 자로다 네 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하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마 16:23)라고 하시면서 아주 준엄한 책망을 하셨다.

십자가의 길을 방해하는 것은 사단이다. 십자가의 길을 버리는 것은 넘어지는 것이다. 십자가의 길 을 피하자고 함은 사람의 육적인 생각이다. 우리들은 우리로 하여금 십자가를 지지 못하도록 하는 원인들이 무엇인지 잘 알아야 하겠다. 베드로는 인정에 치우친 사람의 생각을 했을 때 십자가의 길을 가로막았다. 담대하지 못한 빌라도는 손을 씻으며 비겁하게 십자가의 길을 피했다. 부활의 확신이 없던 제자들과 군중들은 십자가를 피하여 달아나고 말았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교회에 발을 들여놓았던 수많은 사람들이 인정을 끊지 못해서, 강하고 담대한 믿음이 없어서, 내세와 부활의 확신이 없어서 십자가를 피하여 다시 세상으로 나갔다. 그러나 여러분은 오늘 이 자리에 남아 있게 되었음을 감사하시기 바란다. 십자가를 지는 자가 복이 있다.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라가는 생활이 신앙생활이다. 기독교 2천년 역사는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른 성도들로 이어져 왔다. 그러기에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몸에 채우는 생활이 곧 구원을 위한 후속사업이 되는 것이다.

3.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각자 자기 육체 속에 채워야 한다.

바울은 분명히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그의 몸된 교회를 위하여 내 육체 속에 채우노라"고 했다. 십자가는 마음으로 지는 것도 아니며, 말로 지는 것도 아니며, 오직 육신으로 지는 것이다. 십자가를 지지 않고 안전하게 예수를 따르고자 하는 자들은 예수를 가까이 따라갈 수 없다. 베드로가 대제사장의 뜰에까지 예수를 따라갈 때 멀찍이 서서 쫓아가더니 결국 예수를 부인하며 저주까지 하고 십자가를 등지고 말았다(마 26:58).

십자가를 등지고 가면 주님과 같은 방향으로 가지 못하고 멸망을 향하여 역행하여 가게 된다. 오늘날 교회 안에서 자기에게 지워진 사명이 힘들다고 십자가를 벗어버리고 주님과 별행하여 가는 사람들이 있음은 슬픈 일이다. 십자가 없는 무덤은 불행한 무덤이요, 십자가가 있는 무덤은 영광스러운 무덤이다. 그렇다. 그리스도의 영광을 받으려면 그리스도의 고난을 함께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롬 8:17).

누구든지 주님께서 맡겨주신 사명을 감당함에 있어서 아무런 부담 없이 그 사명을 감당할 수는 없는 것이다. 부담 자체가 무거운 짐이기 때문에 그것이 곧 십자가이며, 그 십자가의 짐은 무거움을 느끼며 살이 찢겨지고 피를 홀리며 육으로 져야 하는 것이다.

경제적인 부담, 시간적인 부담, 심리적인 부담, 피곤함을 느끼는 육체적인 부담, 이 모든 것들을 느끼면서 주의 일 하는 것이 곧 십자가를 지고 가는 생활이요,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육체에 채우는 생활이다.

우리들은 오늘 이 종려주일에 종려나무 가지를 꺾어 들고 환영하는 편에서 내 소원대로 예수님 영접하려는 무리 속에 끼이는 것보다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나귀 주인 같이 자기의 나귀를 주님을 위하여 내어놓을 수 있는, 숨어서 십자가를 지는 헌신, 헌납자가 되어야 하겠다.

주님께서 벳바게 맞은편 동리로 제자들을 보내시면서 멍에 메어보지 아니한 나귀가 매여 있을 터이니 끌고 오라고 하셨다. 누가 무어라고 묻거든 "주께서 쓰시겠다"하라고 하셨다. 주께서 쓰시겠다는 데 "왜? 어떻게? 무엇 때문에?"와 같은 이유를 물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있지만 주님의 명령이 나의 이해 안에서 해결되기를 기다리며 머물러 있게 할 수는 없다. 우리는 이해를 앞세우지 말고 명령을 앞세워서 순종할 뿐이다.

십자가를 져야 할 사람이 무슨 이유가 그렇게도 많은가? 우리들이 주님의 십자가를 지고 가지 못함은 우리들에게 이유가 너무도 많기 때문이다. 제2차 대전 말기, 영국이 위기에 처하였을 때 원스턴 처칠은 "나의 백성들이여! 조국을 위하여 땀과 피와 눈물을 주시요"하고 호소한 일이 있다. 그때 영국의 온 국민이 일차 단결하여 조국을 위하여 몸을 바쳤으므로 기울어졌던 국운은 다시 회복되어 승리하였던 일이 있다.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요 12:24). 교회는 십자가를 지는 사람들이 있는 만큼 부흥이 되며, 기독교의 부흥도 자기 육체에 그리스도의 고난 을 채우는 성도들이 있는 만큼의 부흥이 되고 있다.